Skip to content

Conference Theme

인간, 공동체, 국가는 왜 더 큰,
더 심각한 갈등에 빠져드는가?
협력의 가능성은 역전되고 후퇴하고 있는 걸까?
인간 협력과 관련된 다양한
회의론적 징후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협업과 소통의 감각을
회복할 수 있을까?

인간, 공동체, 국가는 왜 더 큰, 더 심각한 갈등에 빠져드는가?
협력의 가능성은 역전되고 후퇴하고 있는 걸까?
인간 협력과 관련된 다양한 회의론적 징후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협업과 소통의 감각을 회복할 수 있을까?

왜 지금 협력인가?

제2회 성대국제컨퍼런스는 “왜 지금 협력인가”를 주제로 선정했다. 세계적인 진화심리학자 마이클 토마셀로 듀크대 교수의 필생의 연구로부터 출발하여, 인간 협력의 역사적 기원과 변천을 들여다보고, 집단, 기업, 국가 등 다양한 차원에서 진행되는 협력의 현주소를 점검한다. 우리 사회와 전 세계가 갈등을 넘어 협력으로 나아갈 수 있는 해결책과 개입 방안을 제시한다.

한국을 비롯한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전개되는 심각한 갈등과 극한 경쟁이라는 퇴행적 트렌드를 경험하고 있다. 자원 결핍에 노출된 취약 계층, 지위 격차를 양산하는 실력주의의 폐해, 커지는 정치적 양극화, 미중 무역전쟁, 반도체 대란과 공급망 위기, 인도적 위기를 촉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갈등은 현재 진행형이다.

현대인과 인류의 조상이 수백 만년 간 지켜본 인간 협력의 가능성에 근본적인 문제 제기도 나오고 있다. 기술적 진보는 번영을 이루고 인간 잠재성을 확장했지만, 기술에 대한 맹신, 감시사회의 도래, 새로운 형태의 편견과 격차의 양산과 같은 새로운 사회문제를 만들어 냈다.

인간, 공동체, 국가는 왜 더 큰, 더 심각한 갈등에 빠져드는가? 협력의 가능성은 역전되고 후퇴하고 있는 걸까? 이타적인 인간의 동기는 위험에 처해있는가? 인간 협력과 관련된 다양한 회의론적 징후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협업과 소통의 감각을 회복할 수 있을까? 협력에 대한 서구와 동아시아는 접근법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제2회 성대국제컨퍼런스는 이런 중요한 질문들을 다룬다. 제1회 성대국제컨퍼런스를 통해 기후위기, 불평등 등 인류의 당면한 위기를 진단했다면,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협력을 통한 위기해결의 가능성을 살펴본다. 글로벌 저명 학자와 선두 연구자들이 협력에 관한 다양한 차원을 뜯어보고, 사회적, 정치적 갈등을 넘어 새로운 협력 모델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무엇이 협력을 촉진하고 저해하는지, 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금융과 보건의료의 역할은 무엇인지 토론한다.

성대국제컨퍼런스 조직위원회는 우리 사회, 정부, 글로벌 공동체가 문명사의 흐름과 글로벌 아젠다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고등교육이 중요한 책임을 갖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지식을 확장하고, 협력을 촉진하며,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성균관대 구성원들, 연구자, 활동가, 정책담당자, 일반 시민들을 환영하고, 성대가 마련한 지적 향연에 초대한다.

2022 성대국제컨퍼런스 조직위원회

Register Here to Attend

Fill in the form, or, if you prefer, Send Us An Email